우리나라에서 제공하는 각종 복지혜택은 혜택에 부합하는 각종 요건이 있는데요 그 중 거의 대부분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중위소득’입니다. 가장 많은 기준의 중위소득은 30%, 50%, 100%, 120%, 150% 등이 있는데요 2023년 중위소득 기준에 대해 알기 쉽게 한 눈에 정리했습니다.
기준중위소득이란?
먼저 간단하게 ‘기준중위소득’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면 ‘국민 가구 소득의 중간값’으로 보건복지부장관이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 및 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입니다.
2023년 중위소득 100%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
중위소득 100% |
2,077,892 | 3,456,155 | 4,434,816 | 5,400,964 | 6,330,688 | 7,227,981 |
2023년 세대 구성원별 중위소득 100%는 위 표 같이 1인가구는 약 2백7십7만원, 3인가구는 약 4백4십3만원 정도 됩니다.
참고로 기준중위소득은 세금 공제 전의 금액입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 30%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
중위소득 30% |
623,368 | 1,036,846 | 1,330,445 | 1,620,289 | 1,899,206 | 2,168,394 |
2023년 중위소득 30%는 복지혜택 중 생계관련 급여의 수급기준으로써 위 표와 같습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 40%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
중위소득 40% |
831,157 | 1,382,462 | 1,773,926 | 2,160,386 | 2,532,275 | 2,891,192 |
2023년 중위소득 40%는 복지혜택 중 의료급여 관련 수급기준으로써 위 표와 같습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 47%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
중위소득 47% |
976,609 | 1,624,393 | 2,084,363 | 2,538,453 | 2,975,423 | 3,397,151 |
2023년 중위소득 47%는 복지혜택 중 주거급여 관련 수급기준으로써 위 표와 같습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 50%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
중위소득 50% |
1,038,946 | 1,728,077 | 2,217,408 | 2,700,482 | 3,165,344 | 3,613,990 |
2023년 중위소득 50%는 복지혜택 중 교육급여 관련 수급기준으로써 위 표와 같습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 80%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
중위소득 80% |
1,662,314 | 2,764,924 | 3,547,853 | 4,320,771 | 5,064,550 | 5,782,385 |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20%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
중위소득 120% |
2,493,470 | 4,147,386 | 5,321,779 | 6,481,157 | 7,596,826 | 8,673,577 |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50%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
중위소득 150% |
3,116,838 | 5,184,232 | 6,652,224 | 8,101,446 | 9,496,032 | 10,841,971 |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80%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
중위소득 180% |
3,740,206 | 6,221,079 | 7,982,669 | 9,721,735 | 11,395,238 | 13,010,3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