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15 출시일 디자인 가격 등 출시 정보 정리


2023년 하반기 아이폰15 출시가 유력한 가운데 예상되는 기능, 디자인 등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나온 아이폰15 관련 출시 정보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출시 예정일

역대 아이폰 시리즈의 출시는 매년 9월 중순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이번 아이폰15의 출시 예정일은 큰 이변이 없는 이상 2023년 9월 중순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매번 1차 출시국 안에 한국은 미포함이 된 점은 항상 아쉽기만 한데요, 충성고객이 많은 한국 역시 1차 출시국으로 반영시켜 한국의 아이폰 유저들에게도 하루라도 일찍 손에 쥐게 해 주었으면 합니다.

아이폰15 출시가 앞으로 10개월 남았습니다.

2. 출시 예정 가격

아이폰14까지는 점진적으로 가격이 인상된 것과는 달리 이번 아이폰15에서는 전 세계적인 물가상승에 못 이겨 기존과는 큰 가격상승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문가들에 의하면 이번 아이폰15의 예상가격은 아이폰15 일반모델기준으로 1,199~1,299달러(약 153만원 ~ 약 166만원)로 프로 이상 또는 내장메모리가 높은 모델을 선택 시 200만 원이 훌쩍 넘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3. 모델 라인업

아이폰14와 마찬가지로 아이폰14 일반, 플러스, 프로, 프로 맥스 등 4가지 라인업으로 구성될 것으로 보입니다만, 프로 맥스라는 명칭 대신에 울트라의 모델명으로 바뀔 것으로 예상됩니다.

 

더불어 일반 라인업(일반, 플러스)과 고급 라인업(프로, 프로 맥스 = 울트라) 간 이른바 ‘급 나누기’ 역시 차이가 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이는 고급화 전략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고급 라인업을 선택하여 수익성을 향상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입니다.

 

4. 라이트닝 포트 제거, USB-C타입 단자 변경

기존 8핀 라이트닝 포트는 제거되고 안드로이드 계열에서 사용하는 포트인 USB-C타입 충전단자로 대체될 것으로 보입니다.

 

유럽의 경우 호환성이 낮거나 오래되어 버려지는 케이블을 줄이고자 하는 환경보호의 일환으로 2024년부터 출시되는 모든 스마트폰의 충전단자 규격을 USB-C타입으로 지정하였기 때문입니다.

 

콧대 높은 애플이 라이트닝 포트 사용의 고집을 버리고 USB-C타입으로 단자를 변경하는 것은 미국과 유럽의 아이폰 판매비중이 높고 국가별 충전단자를 달리한다면 관리나 운영적인 측면에서 득이 될 것이 없기 때문일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라이트닝 포트는 USB 2.0까지만 지원하기 때문에 파일전송속도가 USB-C타입에 비해 현저하게 낮아 사용자로 하여금 원성이 높았는데요, USB-C포트로 변경되면 파일전송속도도 향상되며 안드로이드 계열 스마트폰과도 호환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큰 환영을 받을 것입니다.

 

5. 3nm A17 바이오닉 칩셋 적용

아이폰15에는 TSMC의 최신 AP인 3nm 공정의 A17 바이오닉 칩셋이 적용될 예정입니다.

 

3nm 공정의 A17 바이오닉 칩셋은 아이폰14 시리즈에 적용되었던 4nm A16 바이오닉 칩셋 대비 약 10~15%의 성능향상과 약 30%의 전력소비감소로 성능향상과 배터리효율증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15에는 A17 바이오닉 칩셋이 적용될 것입니다.

 

또한 메모리는 6GB에서 8GB로 소폭 향상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많아도 버벅거림 없이 빠릿하게 반응하여 사용자의 사용환경을 향상해 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3nm A17 바이오닉 칩셋과 메모리는 아이폰14 시리즈에서 그랬던 것처럼 일반 라인업(일반, 플러스)에서는 A16칩셋과 6GB 메모리를, 고급 라인업(프로, 울트라 = 프로 맥스)에서만 3nm A17 바이오닉 칩셋과 8GB 메모리를 적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니 아이폰15의 높은 성능을 기대하고자 한다면 고급 라인업을 선택해야겠습니다.

 

6. 전 라인업 다이나믹 아일랜드 적용

아이폰14의 고급 라인업에만 적용되었던 다이나믹 아일랜드를 이번 아이폰15에서는 모든 라인업에 적용될 예정으로 ‘M자탈모 디스플레이’의 오명을 벗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폰15 전 라인업 모델에는 다이나믹 아일랜드가 적용될 것입니다.

 

7. 잠망경 광학줌 카메라 탑재

경쟁사인 삼성 갤럭시의 경우 S20모델부터 광학 10배줌이 적용되어 광학줌 없이 디지털줌만 지원하던 아이폰이 항상 뭇매를 맞았는데요, 이번 아이폰15에서는 잠망경 방식의 광학줌 카메라를 탑재함으로써 4~5배 광학줌을 지원할 것으로 보입니다.

 

갤럭시의 광학 10배 줌보다는 현저히 낮은 4~5배 줌이지만 일단 아이폰 시리즈 최초로 광학줌이 적용된다는 점에서 박수를 받을 만한 일이긴 합니다.

 

광학줌은 렌즈와 렌즈 간의 거리차를 이용해 초점을 잡아 피사체의 이미지 손상 없이 이미지를 담을 수 있지만 디지털줌은 단순히 이미지를 확대한 방식이기 때문에 줌의 값이 높을수록 이미지 손상도 높았는데요, 광학줌을 탑재함으로써 조금이나마 이미지 손상 없는 줌 사진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잠망경 방식의 렌즈를 탑재함으로써 렌즈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필연적으로 스마트폰의 두께 역시 두꺼워질 수밖에 없는데요, 따라서 ‘카툭튀’처럼 카메라 렌즈가 튀어나오는 디자인이 아닌 평편한 뒷면 디자인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더불어 ‘손떨방’으로 불리는 손떨림방지기술인 OIS와 1,200만 화소 탑재, F2.8의 밝은 조리개 적용으로 더 선명하고 깨끗한 품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아쉽게도 이 기능들은 고급 라인업인 프로와 울트라(구 프로 맥스) 모델에만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니 카메라 기능을 중요시하는 예비 아이폰15 유저는 프로 이상급 모델을 고려해 봐야겠습니다.

 

8. 소재 변경과 라운드형 디자인 회귀

울트라(구 프로 맥스)에 한해 후면 소재가 티타늄 프레임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티타늄 프레임은 강성이 높고 가벼운 것이 특징으로 애플워치 울트라와 맥북프로 등 자사 고급 라인업의 제품에 이미 적용된 바 있으며, 타사의 플레그십 모델 대부분 역시 티타늄 프레임을 적용한 바 있습니다.

아이폰15 울트라(구 프로 맥스)에는 티타늄 프레임이 적용될 것입니다.

 

따라서 티타늄 프레임을 적용한 아이폰15 울트라 모델은 기존 프로 맥스보다 무게가 약간 감소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폰10을 기점으로 모서리 부분을 약간 각진 디자인으로 뽑아내어 침체되던 기존 아이폰 판매량을 끌어올려 아이폰14 까지 적용한 바 있는데요, 이번 아이폰15부터는 아이폰7, 8 시리즈처럼 다시 라운드한 모서리로 디자인 변경을 꾀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디자인은 개인별로 호불호가 갈리는 부분이라 장단점이 명확하진 않은데 개인적인 생각으론 테두리가 둥글거나 각지거나 아이폰은 전부 디자인이 괜찮다고 생각됩니다. 

 

또한 아이폰 마니아라면 디자인 상관없이 아이폰을 선택하지 않을까요?

 

9. 외부 버튼 솔리드 스테이트 버튼

아이폰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아이폰 외부에 각종 물리적 버튼(전원, 상하조절)들을 없애고 탭틱 엔진을 적용한 솔리드 스테이트 버튼을 적용한다고 합니다. 

 

탭틱 엔진을 적용한 솔리드 스테이트 버튼을 적용한 대표적인 모델은 아이폰7 시리즈가 있는데요, 아이폰7 시리즈는 많은 아이폰이 팔린 시리즈 중 상위에 있는 모델 중 하나인만큼 디자인이 예쁘고 간결하게 잘 나왔었죠. 때문에 아직도 아이폰7 유저가 간간이 보이기도 하는 이유일 것입니다.

 

솔리드 스테이트 버튼을 적용한다면 외부에 버튼이 없어지기 때문에 버튼 노출 없이 매끈한 테두리를 만들어 낼 수 있는데요, 대신 특정 부위를 터치하면 탭틱 엔진을 이용해 진동으로 버튼을 누른 듯 한 효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솔리드 스테이트 버튼을 적용하여 외부에 물리적 버튼을 없앤다면 파손이나 고장 확률이 줄어들고 버튼을 위한 틈이 없어지기 때문에 방수방진처리에 유리하다는 큰 장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10. 기타 루머

가. 터치아이디 부활

아이폰10에서부터 적용된 페이스아이디(얼굴 잠금해제)와 더불어 이전 모델에서 아이폰의 대표 상징이었던 터치아이디(손가락 지문 잠금해제)를 액정을 이용해 적용된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이는 이미 갤럭시 구 버전에서 적용했던 방식이었는데요, 이미 페이스아이디가 있는데 굳이 추가로 터치아이디를 적용할지 의문이고 또한 적용하게 되면 가격상승을 피할 수 없게 되는 등 단순함을 강조하는 애플의 아이덴티티와 맞지 않아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나. 8K 동영상촬영지원

현재까지 나온 최신 아이폰시리즈에서는 4K 동영상촬영을 지원했는데요, 아이폰15에서는 8K까지 지원한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아직 4K의 동영상지원도 충분하기도 하고 8K 동영상촬영 시 어마무시한 저장공간이 필요하기에 굳이 8K 동영상촬영을 지원할까 싶습니다. 제작원가상승의 단점은 덤입니다.

 

다. 아이폰 뒷면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아이폰 뒷면 카메라 옆 공간에 컬러 전자잉크가 적용된 작은 디스플레이가 적용된다는 소문도 있습니다. 간단한 알림 확인이나 날짜, 시간, 날씨 등은 바로 보게 하겠다는 것인데 아이폰14부터 AOD가 적용된 이상 후면 디스플레이는 불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이폰15 후면에는 전자컬러잉크 디스플레이가 적용된다는 루머가 있습니다.

 

라. 포트리스(portless) 무선충전 지원

물론 먼 미래에는 애플의 기기들이 각종 케이블이나 선 없이 무선화 할 것이라는 예상은 있지만 현재 애플의 기술력에는 무선충전기술이 완전치 않기 때문에 아직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대다수입니다. 


2023년 9월에서 10월 사이에 발표가 예상되는 아이폰15에 대한 정보를 알아봤는데요, 아직 출시되기 9~10개월이나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많은 정보들이 나오는 것을 보면 역시 아이폰의 관심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항상 그래왔듯이 출시 전에 예상되는 기능들은 그대로 적용되는 것도 있고 루머로 끝나는 경우도 대다수이기 때문에 아직은 재미로만 읽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폰15에 대한 출시정보가 더욱 확실해지면 다시 정리해서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아이폰15 출시 전 관련 정보를 모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