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 원인 증상 치료방법. 골든타임은 72시간!

대상포진은 과거 50대 이후의 나이대에서 많이 발병했으나 최근에는 2030 세대에서도 흔치 않게 발병되는 질병입니다. 대상포진을 방치하게 되면 굉장히 심한 통증이 동반된다고 하는데요, 자세한 사항 알아보겠습니다.

대상포진 원인 증상 치료방법 썸네일

대상포진 원인

대상포진 발병 원인은 발병자가 과거 체내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를 통해 수두를 일으킨 뒤 바이러스가 몸속에 잠복해 있다가 몸의 면역력이 약해지면 바이러스가 활성화되어 나타납니다. 수두 예방접종을 맞은 사람도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몸속에 남아있기 때문에 대상포진에 걸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일반인에 비해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벽 면역기능 저하상태로 면역을 담당하는 ‘T세포’의 항상성불균형에 의해 대상포진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

그 외 에이즈,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 장기 이식을 받은 환자, 폐 질환이 있는 환자, 만성질환 등이 있는 환자 등은 면역기능이 저하된 상태이기 때문에 대상포진 위험에 많은 노출이 되어 있습니다.

연령, 성별, 기저질환 유지 등이 대상포진 발병의 위험인자가 될 수 있으므로 대상포진 예방을 위해 평소 내 몸이 높은 면역상태가 유지되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대상포진 증상 및 통증

대상포진은 ‘천의 얼굴을 가진 질병’이라고 할 만큼 발병 초기에는 여러 종류의 증상과 통증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으로는 감기, 두통, 허리디스크, 피부발진 등의 증상이 많이 나타나 처음에는 대상포진인지 모르고 진료를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2030 세대의 젊은 층에서는 통증을 거의 호소하지 않으나 80대 이상 어르신들은 칼로 베이는 듯한, 불에 타는 듯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상포진 치료시기 및 치료방법

어느 질병이든 마찬가지로 질병 발병 후 최대한 빠른 시일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한데 대상포진의 경우 72시간, 즉 3일 내 치료를 시작해야 대상포진 후 신경통 및 합병증 예방효과가 크다고 합니다.

가장 보편적인 대상포진 치료방법으로는 7일에서 10일 정도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면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추가로 항바이러스제 주사를 맞기도 합니다. 피부수포가 난 부위에 항바이러스 성분의 연고를 도포하는 치료방법도 있습니다.

눈, 귀 등에 대상포진 증상이 나타날 때 안과, 이비인후과에서의 치료를 동반해야 해당 부위에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경우 만성 피로나 식욕 부진, 체중 감소, 불면증 등의 신체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 으며 집중력 저하, 우울증 같은 정신적 문제도 나타나고 이 같은 문제는 길게는 6개월부터 심하면 평생까지도 대상포진 후 신경통을 호소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가급적 빠른 치료를 통해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통증을 줄여야 합니다.

대상포진을 예방하는 제일 좋은 방법은 사전에 미리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맞는 것입니다.